일본문화&일본역사의 이해

천황(天皇, てんのう)

지영 센세 2009. 1. 23. 13:16
천황(天皇, てんのう)
천황의 기원은 고분시대(기원후 2C 말엽부터 7C) 말기인 5~6세기 경 일본 각지에 야마토 (大和) 정권의 오오키미(大王)가 통일 국가를 만들어 천황이라 칭해졌다.
천황의 기원은 고분시대(기원후 2C 말엽부터 7C) 말기인 5~6세기 경 일본 각지에 야마토 (大和) 정권의 오오키미(大王)가 통일 국가를 만들어 천황이라 칭해졌다.
오오키미(大王)는 각지의 왕이 연합하여 뽑은 왕을 말한다.

천황의 칭호는 다양하다.
칭호를 보면 7C 중반부터 사용된 칭호로 천황이 하늘에 있는 신의 직계 자손이라는 점에서 인간이면서 신이라는 아라히토가미(現人神), 아키쓰미카미(現御神) 칭호가 일찍부터 사용되었다.


스메미마노미코토(皇孫尊)는 천조 대신의 자손임을 강조한 것의 칭호로 신에게 진상하는 축사나 선명(천황의 명령을 적은 문서)에 종종 등장한다.

十善의 主는 불교의 영향으로 생긴 칭호로 불교에서는 십선계(속세인이 지켜야 할 불교의 10가지 계율)를 지키면 그 공덕으로 왕위에 오른다는 가르침이 있어 천황을 十善의 主 또는 十善의 王이라 부른다.

현재 천왕을 말하는 今上, 유일한 사람이란 뜻으로 一人이라 부르기도 한다.

至尊는 그 이상 있을 수 없는 지엄하신 분이란 뜻이다.

천황의 지위에 대해서...
- 천황의 인간선언

1946년 1월, 천황의 연두 조서 발표.

[ 짐과 국민 여러분과의 유대는 ..... 단순한 신화와 전설에 의해서 생긴 것이 아니다. .....
천황을 현어신으로 간주하고, 또 일본국민을 타 민족보다 우월한 민족이라 하여, 모든 세계를 지배할수 있는 운명을 가졌다는 터무니 없는 관념에..... ]

2차 세계대전 패전으로 인해서 미국의 압력으로 천황 스스로 자신의 신성을 부인했다.


- 2차 세계대전 이전의 천황의 지위

2차 대전 이전의 일본 사회에서 천황을 정치, 군사상의 최고 권력자임과 동시에 국가에 제사를 집행하는 최고의 제사이고, 또한 살아있는 신이어서 어떠한 일이 있어도 책임 추궁을 당하지 않는다고 하는 종교적 세속적인 절대적인 존재였다.


-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천황의 지위

전전(戰前)에 비해 천황의 지위가 크게 바뀌어 일본의 상장이며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이라 명시되어 있다.
천황은 국가 및 국민 통합의 상징이므로 국내에 있어서 혹은 국민의 사고 방식에 있어서 분명하게 대립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그것을 초월한 중립적 입장에 있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위가 상징이라고 인식 되어지는 것은 천황의 비정치화와 비종교화를 뜻하는 것이다.

천황의 국사 행위
4조 [천황은 이 헌법이 정하는 국사에 관한 행위만을 하고, 국정에 관한 권한을 갖지 않는다.]

7조 [천황은 내각의 조언과 승인에 의해 국민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국사에 관한 행위를 한다. ]라고 명시하고 다음의 10항목을 열거하고 있다.

1. 헌법 개정, 법률, 정령(政令) 및 조약의 공포
2. 국회의 소집
3. 증의원의 해산
4. 국회의원 총선거 시행의 공포
5. 국무대신 및 법률이 정하는 그 밖의 관리의 임명, 전권 위임장, 대사와 공사의 신임장의 인증(認證)
6. 대사면, 특사, 감형형 집행면제 및 복권의 인증
7. 영전의 수여
8. 비준서 및 법률이 정하는 그 밖의 외교문서의 인증
9. 외국의 대사 및 공사의 접수
10. 의식의 집행

천왕의 즉위식과 장례식
명치천황(明治天皇)의 즉위식

명치천황은 孝明천황(1846 ~ 1866)의 아들로서 1860년에 황태자가 되었다.
효명 천황이 1866년 12월 25일에 死去하자 황태자는 해를 넘겨 이듬해인 1876년에 즉위하여 명치천황이 되었다.
명치천황은 즉위 후 1월 27일 효명천황의 장례식을 치렀다. 이 즉위식의 특징은 종래의 즉위식을 가급적 탈피해 새로운 방식을 모색한 점에 있다.
음양도에 기초를 둔 깃발인 당(幢)과 번을 폐지하고 중국의 예복인 애면(애면)을 폐지하고 신도식의 제복을 채택했다.

천황의 장례식

천황의 장례식은 1909년 (明治 42)에 제정된 황실복상령(皇室服喪令)과 1926년 10월에 제정된 황실상의령(皇室喪儀令)의 두가지 법령이 법적인 근거로 되어있다.
황실상의령은 대상의의 순서를 규정하고 있다. 대상의라고 하는 것은 大行천황(세상을 떠난 천황), 태황태후(천황의 조모), 황태후(천황의 모친), 황후의 장레식을 말한다.

용어해설
왕제국가

세계에 현존하는 28개국의 왕제국가 중에서 국제적인 비중을 갖고있는 나라는 영국, 일본, 사우디아라비아의 3개국 정도이다.

히노마루

정식으로는 일장기(日章旗)라 불린다.
일본이 태양신 천조대신의 자손인 천황이 다스리는 나라라는 뜻으로 태양을 상징하는 깃발로 되어있다.
히노마루는 태양신 자손인 천황을 상징하고 또, 천황의 은덕이 널리 미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기라는 의미가 부여되었다.
1870년(明治3)에 일본의 배에 일장기를 게양하도록 했고 이때 국기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일본의 國歌는 기미가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