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쓰기] 골치아픈 일본어 한자의 음읽기 : 오음과 한음 오음(吳音)과 한음(漢音) 일본어 한자 읽기는, 때로는 절망적일 정도로 골치아프다. 음을 읽는 음읽기 말고 훈읽기 라는 게 있는 데다, 이것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음읽기만 생각해 보자. 한국어의 한자 읽기도 드물게, 음이 하나가 아니고 둘인 경우가 있다. 일본어에서는 음읽기만 놓고 .. 한자이야기 2009.01.14
[읽기/쓰기] 이음이의어, 연습하자 이음이의어 (연습) 보기에 같은 한자어를 두고, 음읽기와 훈읽기로 뜻이 달라지기도 하고, 또는 음읽기가 여럿일 수도 있다. 이런 말들을 연습하면 어휘력의 향상에도 좋고, 일본어에서의 한자의 생리를 터득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자, let's go! 外面 がいめん : 외면 そとづら : 사교용 얼굴 各行 かく.. 한자이야기 2009.01.14
[읽기/쓰기] 이음이의어 : 읽기도 뜻도 다르다! 쓰기는 같은 한자인데, 읽기도 다르지만 뜻도 다르다! 이를테면, 이음이의어들. 追従 ついじゅう : 뒤따름, 추종 ついしょう : 아첨함 道中 どうちゅう : 길가는 도중 みちなか : 길 가운데 土産 どさん : 어느 지역의 산물 みやげ : 여행 다녀온 선물 何人 なにじん : 어느 나라 사람, 어디 사람 なんにん.. 한자이야기 2009.01.14
[읽기/쓰기] 띠어쓰기는 안 해도 일본어는 원칙적으로 띠어쓰기가 없습니다. 하지만 띠어읽기는 필요합니다. 일본적의 어느 항공사의 비행기였던지 기내에 ... 「全便座席指定」라고 쓰여 있었습니다. ぜんびんざせきしてい 이것을 만약, 「全便座 ・ 席指定」이라고 읽는다면.. =>모든 변좌는 그 자리가 지정돼 있다? 엄청 비싼 .. 한자이야기 2009.01.14
[읽기/쓰기] 숙자훈 (계절과 날씨, 자연) 漢字 2자 이상으로 된 숙어에 통째로 짝지어지는 훈을 일컬어 숙자훈(熟字訓=じゅくじくん)이라고 합니다. 말하자면, 숙어식 한자읽기입니다. 훈읽기 중에서도 여간 골치 아픈 게 아닙니다! 물론 한자는 본래, 한 글자마다, 뜻과 모양과 읽기(음)를 따로따로 갖는 독립적인 한 단어로서의 특성을 갖습.. 한자이야기 2009.01.14
[읽기/쓰기] 한자로 구별하는 きく きく 왼손잡이를 일본어로? ひだりきき라고 합니다. 오른손잡이는 みぎきき. 손(手)은 들어 있지 않습니다. 듣는 손이 오른쪽이냐 왼쪽이냐 할 때의 "듣는 손"은 통상 きき腕(うで)라고 하여, 손(て)보다는 팔로 말합니다. 어쨌든 이처럼, 잘 작동하다, 잘 기능하다는 의미의 "듣다"는 きく입니다.. 한자이야기 2009.01.14
武(무) : 가게무샤 영어(囹圄)의 처량한 신세가 된 이라크의 훗세인, 천출(天出이냐 賤出) 시비의 대상이된 김정일 등등. 오늘날의 독재자들에게도, 과거 일본 전국시대처럼 가게무샤(kagemusha)가 있(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影武者=かげむしゃ 만약의 경우에 대비한 "가짜"인물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여기서 武의 읽기.. 한자이야기 2009.01.14
腰(요) :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腰 (한국어 : 허리 요) 몸 전체의 밸런스 상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허리이다. 月변의 要로서, 전체 13획. 음읽기 : よう 훈읽기 : こし 月변 : にくづき라고 부릅니다. 유의해야 할 점은, 이것은 원래 고기 肉인데, 변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月로 쓰는 것이다. 즉 의미상, 달(moon)이 아니고 몸(body)에 관계.. 한자이야기 2009.01.14
何(하) : 육하원칙 何 (어찌 하) 음 : カ 훈 : なに、なん なに 또는 なん은 무엇이나 무슨, 또는 숫자의 몇이라는 뜻입니다. 이것을 한자로 何로 씁니다. 何事(なにごと):무슨 일 何者(なにもの):어떤 자 何回(なんかい):몇 번 何階(なんかい):몇 층 何月(なんがつ):몇 월 何歳(なんさい):몇 살 何.. 한자이야기 2009.01.14
(일본에서 쓰는한자) 일본어 약자 & 속자 일람표 本字 略·俗字 音訓 本字 略·俗字 音訓 假 仮 【가】거짓, 빌리다. 價 価 【가】값, 가치 岡 崗 【강】산등성이, 언덕 强 強 【강】강하다, 억지로 個 箇 【개】낱개, (단위) 蓋 盖 【개】덮다, 뚜껑 擧 挙 【거】들다, 움직이다. 據 拠 【거】의거하다. 檢 検 【검】검사하다... 한자이야기 2009.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