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오) : 오십보백보 五 (다섯 오) 음 : ゴ 훈 : いつ、いつつ 오십보백보 라고 하면 그 놈이 그놈, 즉 두 가지 것이 서로 별 차이가 없음을 말합니다. 원래 중국산인 이 숙어는 일본에도 수입되어 널리 쓰이는 말입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이 관용구는, 좋은 것 두 가지가 서로 엇비슷한 경우가 아니고, 그 반대인 부정적인 .. 한자이야기 2009.01.14
野(야) :촌스러운 것 野 (들 야) 음 : ヤ 훈 : の 산(山)도 숲도 아닌 들판을 の라고 하는데, 이것을 한자로는 野로 씁니다. 한자의 음(や)을 읽는 단어들도 많습니다. 野風(のかぜ):들바람 野原(のはら):들, 들판 広野(こうや):광야 平野(へいや):평야 野는 또, 사람손에 길들여지지 않은 것, 자연 그대로의 것,.. 한자이야기 2009.01.14
十 (십) : 경찰에 신고하는 번호는? 十 (열 십) 음 : ジュウ、ジッ 훈 : とお、と 경찰에 연락하는 전화번호는 일본에서 110(백십)번입니다. 이 번호는 예로부터 百十番(ひゃくとおばん)이라는 말로 대중에게 널리 친숙해져 있습니다. 百은 ひゃく라고 읽었지만, 十은 とお라고 훈으로 읽은 것입니다. とう가 아니고 とお임에 주의해야 .. 한자이야기 2009.01.14
雨(우) : 비 온 뒤에 땅 굳는다 雨 (비 우) 음 : ウ 훈 : あめ、あま 해양성 기후인 일본은 한국보다 비(あめ)가 많은 편입니다. 그러다 보니 아무래도 비에 관한 이름들도 많습니다. 단독으로는 あめ이지만,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우면서 발음이 변형된 독특한 것들도 꽤 있습니다. 秋雨(あきさめ):가을비 大雨(おおあめ):큰 .. 한자이야기 2009.01.14
園(원) : 기원정사의 종소리 園 (동산 원) 음 : エン 훈 : その 동산이나 텃밭의 뜻인 園은, 공원이나 동물원 또는 유원지, 그리고 낙원 따위의 말에 잘 어울립니다. 요컨대, 기분 좋게 놀기 좋은 공간입니다. 이런 의미에 덕을 보고자 응용한 것이, 유치원이라든가, 일본에서 많이 사용하는 学園(がくえん)이라는 말입니다. 유치.. 한자이야기 2009.01.14
味 (미) : 첫사랑의 맛은? 味 (한국어 음 : 미) 맛은 あじ입니다. 味의 훈읽기는 あじ, 음읽기는 み입니다. ▶맛있다, 맛없다 (한자 쓰기를 눈여겨 둡시다) おいしい(美味しい): 맛있다 うまい(美味い、旨い): 맛있다 まずい(不味い): 맛없다 ▶음읽기 (아테지 포함) 味覚(みかく):미각 味方(みかた):아군, 우리편 .. 한자이야기 2009.01.14
習 (습) : 배우고 때로 익히면 習 (익힐 습) 羽(はね)의 5획, 총획 11획 음 : シュウ 훈 : ならう 구닥다리 말이지만,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즐겁지 아니하랴는 공자(孔子=こうし)의 말씀입니다. 즐겁기까지는 않더라도 꼬박꼬박 그렇게 하면 틀림없이 성적은 빠르게 오를 것입니다. 여기서의 익히다는 논어(論語=ろんご)원.. 한자이야기 2009.01.14
素(소) : 화장도 안 한 맨얼굴 素(소) : 화장도 안 한 맨얼굴 요즘은 중년 남자들도 화장에 신경 쓰는 세상입니다. 다른 사람의 화장 안 한 맨 얼굴을 보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세태. 화장 한 얼굴에 견주어, 화장 안 한 맨 얼굴을 가리키는 말이 素顔(すがお). 요즘은 すっぴん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서의 素. 훈읽기는 もと , 음읽기.. 한자이야기 2009.01.14
主(주) : ぬし로 읽는 경우 主 (주인 '주')의 음읽기는 しゅ、す 훈읽기는 ぬし、おも、あるじ ぬし로 읽는 말들을 읊어 보자. 뜻은, 주인, 임자, 본인 이다! (명사 + 主) 그 사물의 임자, 주인 家主(やぬし、いえぬし): 집주인 株主(かぶぬし): 주주 (주식의 주인) 神主(かんぬし):신주 (신사의 주인, 우두머리), 간누시.. 한자이야기 2009.01.14
二(이) : 오타쿠 이야기 二 (둘 이) 음 : ニ 훈 : ふた、ふたつ 일본어의 이인칭(二人称=ににんしょう)은 한국어 못지않게 다양합니다. 교본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あなた는 실제로도 폭넓게 쓰이는 것이긴 하지만, 결코 영어의 you처럼 범용할 수는 없습니다. 그 말을 쓸 수 있는 한정된 상황에 맞는 말일 뿐입니다. 이것보다 조.. 한자이야기 2009.01.14